정부·기업, 중국 AI ‘딥시크’ 차단
데일리 팩트, 상반기정부 부처와 주요 기업들이 중국의 인공지능(AI) 서비스 ‘딥시크(DeepSeek)’ 접속을 전면 차단하며 보안 강화에 나섰습니다. 개인정보 유출과 국가 기밀 보호가 핵심적인 이유로 꼽히며, 금융권과 IT 업계를 중심으로 차단 조치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6일 기준으로 외교부,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를 비롯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여성가족부 등 다수의 정부 부처가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습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역시 외부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에서 딥시크 사용을 제한했으며, 기획재정부도 같은 방침을 검토 중입니다. 정부는 AI 서비스 이용 시 기기 정보, IP 주소, 키보드 입력 패턴 등이 중국 내 서버에 저장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국가 차원의 대응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입니다.
민간 기업들도 이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과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들이 사내망과 고객용 PC에서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습니다. IT 기업들도 보안 강화를 위해 같은 조치를 시행하고 있으며, 카카오는 이날 오전부터 사내 네트워크에서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고, LG유플러스도 보안 문제를 이유로 차단 조치에 나섰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딥시크가 AI 학습 과정에서 이용자의 기기 정보와 입력 데이터를 광범위하게 수집한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특히, 국가 기관이나 기업 내에서 사용될 경우 민감한 업무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4일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에 딥시크 및 챗GPT 등 생성형 AI 서비스 사용 시 보안 문제에 유의할 것을 요청하는 공문을 발송했습니다. 정부와 기업이 동시에 차단 조치를 강화하면서, 향후 AI 서비스 이용에 대한 명확한 보안 지침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AI 기술 발전과 함께 정보 보호 및 데이터 보안이 더욱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며, 기업과 정부 차원의 가이드라인 정립이 필요하다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딥시크 차단 조치가 AI 서비스의 보안 기준과 정책 방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티엔엠팩트 김병국